우리나라가 세계 최대 채권지수인 세계국채지수(WGBI, World Government Bond Index)에 편입된다.
정부는 WGBI 편입으로 내년 하반기부터 75조 원 이상의 외국인 투자자금이 국내 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정부·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이 줄어들고, 외환시장의 유동성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는 세계 최대지수산출기관으로 꼽히는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스톡익스체인지(FTSE) 러셀이 내년 11월부터 한국을 WGBI에 추가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FTSE Russell은 런던 증권거래소 그룹(LSEG)의 자회사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등과 함께 세계 최대 시장지수 산출기관 중 하나다.
세계국채지수는 26개 주요국 국채가 편입돼 있는 선진채권지수로 추종자금 규모만 2조 5000억 달러로 추정되는 세계 최대 채권지수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일부 금융선진국들도 문턱을 넘기 어려운 매우 까다로운 선진국 클럽인 WGBI에 한국이 편입되어 우리 국채시장이 명실상부하게 제값 받기에 성공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우리 자본시장은 세계 10위권인 경제 규모나 국가신용도에 비춰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으나, 이번 계기로 우리 채권시장에 대한 평가가 경제체급에 맞게 조정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결정은 윤석열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하에서 한국경제의 견고한 펀더멘털과 높은 국가신인도로 인해 가능한 일이었고, 현 정부 출범 이후 자유시장 경제기조하에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게 일관된 외환·자본시장 개혁을 추진한 것이 인정받게 된 것”이라고 의미를 평가했다.
최 부총리는 “이번 정부에서 추진한 WGBI 편입, 외환시장 구조개선을 통해 고질적인 채권·외환시장의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된 만큼 이제 한국 주식시장의 제값 받기를 위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도 흔들림 없이 추진하고, 그 성과가 실물경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이와 함께 “WGBI 편입으로 내년 하반기부터 75조 원 이상의 외국인 투자자금이 국내 시장으로 유입되고, 그 혜택은 국민·기업에 돌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FTSE Russell은 이번 발표에서 한국이 2022년 9월 WGBI 편입을 위한 관찰대상국에 최초로 등재된 이후 국채시장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개선을 추진해 WGBI 편입요건인 시장접근성 레벨2의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FTSE Russell은 한국 정부가 제3자 외환거래 허용, 외환거래시간 연장 등 외환시장 구조개선을 지난 7월 완료했으며, 국제예탁결제기구 국채통합계좌를 지난 6월 개통했고, 비과세 및 법인식별기호(LEI) 등과 관련한 어려움에 대해서도 잇달아 개선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국 정부가 WGBI 편입을 위한 엄격한 기준을 충족하는 제도개선을 시행해 글로벌 투자를 확대·장려하려는 노력과 함께 글로벌 채권투자자들의 실질적인 피드백을 해결하려는 노력에 대해서도 높이 평가했다.
FTSE Russell은 이번 편입 확정 발표 이후 1년 뒤인 내년 11월부터 실제 지수반영을 시작해 1년 동안 분기별로 단계적으로 편입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
FTSE Russell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국채시장에 투자하고, 제도개선의 혜택을 활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금융시장 인프라 제공기관들이 관련 준비를 지속해 줄 것을 권장했다.
WGBI 편입으로 먼저, 금리가 안정돼 정부·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이 줄어들게 되고, 외환시장의 유동성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WGBI를 추종하는 안정적인 외국인 투자 자금이 유입되면서, 금리 인하효과가 단기물부터 장기물까지 전반에 걸쳐 나타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국채 수요기반이 확충되면서 안정적인 중장기 재정운용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WGBI 추종자금은 단기적인 금리 수익을 위한 자본이 아닌 주로 장기적인 소극투자(passive) 자금으로, 유출입 변동성이 낮고 예측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국채 수요기반이 안정적으로 확대되면서 미래의 예상치 못한 재정지출에도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WGBI 편입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한국 경제의 위상이 높아지는 효과도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