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데이터 클라우드 기업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가 오픈 테이블 포맷인 ‘아파치 아이스버그 테이블(Apache Iceberg™ tables, 이하 아이스버그 테이블)’에서 자사 플랫폼의 주요 기능을 더욱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개방형 환경에서도 더욱 안전하면서도 빠르고 쉽게 데이터를 활성화 및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스노우플레이크 고객들은 아파치 아이스버그 테이블을 적용하면서 통합 데이터 플랫폼과 파켓(Parquet) 등의 개방형 상호운용 데이터 형식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데이터를 개방형 상호운용 방식으로 저장·관리·분석할 수 있고, 데이터 복제 없이 스노우플레이크의 쉬운 사용성, 연결성, 높은 신뢰성을 갖춘 플랫폼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벤더 종속성을 없애 모든 데이터를 활용해 높은 성능과 유연성으로 고급 인사이트 및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더 빠르게 구축·확장·공유할 수 있다.
아이스버그 테이블에서 스노우플레이크의 네이티브 테이블 형식과 동일한 컴퓨팅 엔진을 지원하며 ‘검색 최적화 서비스(Search Optimization Service)’와 ‘쿼리 가속 서비스(Query Acceleration Service)’ 등을 추가해 레이크하우스 분석 기능을 강화했다. 또한 스노우플레이크는 아파치 아이스버그 커뮤니티와 협력해 VARIANT 데이터 유형도 지원할 예정이다.
스노우플레이크의 높은 보안성과 안전한 데이터 공유 기술 역시 아이스버그 테이블에 도입함으로써 고객은 개방형 데이터의 유연성과 보안, 거버넌스로 안전하게 데이터를 관리, 공유, 배포 및 수익화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복제 및 동기화 기능을 아이스버그 테이블로 확장(현재 프라이빗 프리뷰 단계)해 시스템 장애, 사이버 공격 등에도 데이터를 신속하게 복구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스노우플레이크 제품 담당 수석 부사장 크리스티안 클레이너만(Christian Kleinerman)은 “데이터의 미래는 ‘오픈’이면서도 쉬워야 한다”며 “고객은 개방형 포맷과 최고 수준의 성능, 비즈니스 연속성 그 어떤 것도 놓치지 않아야 한다. 스노우플레이크의 최신 아이스버그 테이블 지원을 통해 복잡성은 제거하면서도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성능과 보안을 유지해 개방형 데이터와 스노우플레이크 플랫폼에 저장된 데이터를 모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같이 스노우플레이크는 데이터 상호운용성과 투명성을 높이고자 오픈 소스와 데이터 혁신을 위한 투자에도 적극적이다. 지난 4년 동안 스노우플레이크가 인수한 기업 중 35%는 오픈 데이터 생태계를 강화하는 기술을 보유한 회사들로, 개방성을 중시하는 스노우플레이크의 철학을 반영한다.
아이스버그 테이블 외에도 실시간 파이프라인을 관리하고 변환 작업을 단순화하는 데이타볼로(Datavolo)의 ‘아파치 NiFi(Apache NiFi)’,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 간 아이스버그 상호운용성과 기업 보안을 보장하는 ‘아파치 폴라리스(Apache Polaris)’, 판다스(pandas) 워크로드를 코드 변경 없이 확장하도록 지원하는 ‘모딘(Modin)’, 사용자가 대화형 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대시보드 및 시각화를 쉽게 구축하고 공유하도록 지원하는 ‘스트림릿(Streamlit)’, 모델 성능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해 AI의 편향 탐지, 규정 준수, 성능 분석을 제공하는 ‘트루에라(TruEra)’ 등 주요 오픈소스 프로젝트에도 기여하고 있다.
코모도 헬스(Komodo Health)의 최고기술책임자 로렌트 브라이드(Laurent Bride)는 “코모도 헬스의 목표인 종합적인 헬스케어 지도, 플랫폼, 도구 및 분석 솔루션을 통해 전 세계 질병 부담을 줄이는 것에 아파치 아이스버그와 폴라리스 카탈로그(Polaris Catalog)와 같은 오픈 소스 카탈로그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오픈 테이블 형식은 유연성, 상호 운용성, 데이터 거버넌스를 제공하며, 복잡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한 인사이트를 스노우플레이크의 탁월한 성능을 통해 효율적으로 확장해 의료 생태계 전반에 환자 치료 결과를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기사
스노우플레이크, 아파치 아이스버그 테이블 지원 강화… 기업에 개방형 데이터와 AI 최적화 성능 제공
- 조이진
- 2025-04-09 16:23
스노우플레이크 플랫폼, 아이스버그 테이블 유연성·상호운용성과 결합… 데이터 관리·연결 간편화
기업, 오픈 포맷 데이터 간편 활성화·업계 최고 수준 성능 활용 가능
SKT, 갤럭시 S25 시리즈 사전개통 개시
2025-04-09 16:23최신기사
라이프
용산구, 광복 80주년 기념 AI 영상 ‘잊혀진 마을, 둔지미’ 공개
서울 용산구(구청장 박희영)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AI 복원 영상 ‘잊혀진 마을, 둔지미’를 선보였다.이 작품은 AI 역사 콘텐츠 시리즈 ‘고맙습니다’의 세 번째 영상으로, 오래된 흑백사진과 기록을 인공지능(AI) 기술로 복원해 과거 용산의 인물과 ...
전다희 기자 2025-08-13
안산시, ‘경기도 상권 친화형 도시 조성사업’ 최종 선정…3년간 상권 활성화 추진
안산시가 경기도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상권 친화형 도시 조성사업’ 공모에서 최종 사업 대상지로 선정됐다.안산시(시장 이민근)는 12일, 안산시상권활성화재단이 이번 공모에 참여해 Ⅰ유형 시군으로 뽑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
차효정 기자 2025-08-12
곡성군, ‘전남 한 달 여행하기-곡성편’ 참가자 모집
전남 곡성군(군수 조상래)이 전라남도와 함께 추진하는 ‘전남 한 달 여행하기 - 곡성편’ 참가자를 오는 8월 25일까지 모집한다.이번 사업은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를 제외한 지역 거주 여행자가 곡성을 거점으로 전남 전역을 여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체류...
홍정훈 기자 2025-08-11
충청북도 찾아가는 의료서비스 보은, 씨엔씨재활의학과병원 참여
충청북도에서 진행하는 ‘충북형 인구감소지역 이동진료서비스’ 시범 운영 사업에서 씨엔씨재활의학과병원이 첫 주자로 함께 했다. 씨엔씨재활의학과병원 이지용 대표원장은 보은군의 대청댐노인복지관에서 진행한 첫번째 이동진료서비스에서 가정의학과 진료를 맡아 진행했...
최정은 기자 2025-08-05
과학·기술 인기기사
중요기사
고양시, ‘2025년 제9회 사회조사’ 실시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가 오는 8월 20일부터 9월 3일까지 ‘2025년 제9회 고양시 사회조사’를 진행한다.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주관하고 도내 31개 시·군이 참여하는 통계조사...
최정은 기자 2025-08-19
구례군, 제8회 오맥축제 개최…“얼음 속으로 풍덩! 시원하게 즐기자”
전남 구례군이 오는 8월 23일 구례읍 5일시장 일원에서 ‘2025 구례 5일시장 제8회 오맥축제’를 개최한다.오맥축제는 구례읍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여름철 전통시...
최정은 기자 2025-08-19
대구시교육청, ‘2025년 지역기반형 유아교육·보육 혁신지원사업’ 운영
대구시교육청(교육감 강은희)이 ‘지역기반형 유아교육·보육 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영유아 대상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교육청은 8월 18일(월)부터 26일(화)까지 대구과학대와 ...
최정은 기자 2025-08-19
광주 북구, 주민발안으로 ‘마을자치 기본 조례’ 제정 청구…8,163명 서명
광주광역시 북구가 주민발안을 통해 ‘마을자치 기본 조례’ 제정 절차에 들어갔다.북구(구청장 문인)는 실효성 있는 마을자치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해 주민발안으로 추진된 ‘마을자치 기...
최정은 기자 2025-08-19
남동구, 원도심 재개발사업 본격화…간석·만수 지역 정비 속도
인천시 남동구 원도심에 활력을 불어넣을 재개발사업이 속도를 낼 전망이다.남동구는 간석37구역, 만수1구역, 만수3구역에 대한 정비계획 수립과 구역 지정을 위한 예산을 인천시에 요청...
최정은 기자 2025-08-19
광명시, 기업 성장 지원 통합 브랜드 ‘기업온(On) 광명’ 본격 추진
광명시(시장 박승원)가 기업 성장 지원 통합 브랜드 ‘기업온(On) 광명’을 본격화한다.19일 시에 따르면, 기업온 광명은 광명시가 추진하는 각종 기업 성장 지원 정책을 연계해 실...
최정은 기자 2025-08-19
LG유플러스, ARS 안내 개편…상담 대기시간 66% 줄였다
LG유플러스가 고객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ARS(자동응답시스템) 메뉴를 고객 맞춤형으로 개편하면서 상담 대기시간이 크게 줄었다.LG유플러스(www.lguplus.com)는 18일,...
장동훈 기자 2025-08-18